Statement
작업의 주제가 되는 ‘자신만의 방’은 거창한 작업실, 책이 빽빽한 서재, 화려한 드레스 룸 같은 것들이 아니다. 나도, 당신도 가지고 있는 작은 공간이다. 하지만, 그곳을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은 다른 문제이다. 나의 작품은 약간의 계기로 자신의 공간을 갖게 되고 그 곳에서 진정한 ‘나’가 되어가는 대상을 탐구하고 그의 일상, 생각, 감각 등을 픽션 다큐멘터리 영상으로, 또는 설치작품과 드로잉으로 형상화 한다.
은퇴 후 자신만의 공간을 찾아 방황하던 이재식, 길지 않은 57세 인생을 짧디 짧은 6개월 동안 정리해야 했던 안선경.
이들이 나눈 일상은 생각하는 것만큼 거창하지도, 도전적이지도 않다. 산책길에 꺾은 꽃송이로 변기를 꾸미고, 냉장고에 남아있는 재료만으로 정체불명의 볶음밥을 해보는 그야말로 작고 소박한 일상.
다만, 조금 이상해 보일 수는 있다. 다른 사람들은 쳐다보지도 않을 작은 화장실, 소파 가장 구석진 자리 한 켠이 그들에게는 온전히 ‘나’로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최고의 장소이다. 나는 ‘나’로서의 소중한 순간과 소박한 나날을 하나씩 수집하여 그 순간을 공간으로, 공간을 '나'만의 세계로 확장시킨다.
그렇게 확장된 세계를 통해 지금도 변화해 가는 중인, 살아 움직이는 우리의 일상을 다시금 돌아보고 있을 '당신'들에게 따뜻한 응원을 보내려 한다.
‘A room of one’s own’, which is the subject of my work, is not something like a big studio, a library full of books, or a fancy dressing room. It is a small space that you and I also have. However, making the room your own entirely is a different matter. In my work, I get to have my own space with a little chance, and I explore the subject who becomes the true ‘me’ there, and represents the one’s daily life, thoughts, and senses into fiction documentary videos, installation works and drawings.
Lee Jae-sik, who was wandering in search of his own space after retirement, and Ahn Seon-gyeong, who had to wrap up her 57-year-old life in a six months.
The daily life they share is not as grand or challenging as you might think. Decorating a toilet bowl with flowers that picked on a walk and making unidentified fried rice with ingredients left in the refrigerator is a small and simple daily life.
However, it may seem a bit odd. A small bathroom that others wouldn't even look at, a seat in the farthest corner of the sofa is the best place to spend time as 'me' to them. I collect precious moments as 'me' and simple days, and expand the moment into space and space into 'my' world.
I would like to send warm support to 'you' who will be looking back at our daily lives, which are still changing through such an expanded world.